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1차면접
- 오라클
- 뷰 리액트 비교
- Vue.js
- 뷰
- e-HR
- SBS 본사
- 뷰 리액트
- CompositionAPI
- 첫 리액트
- 프로젝트 후기
- 쟈스
- 면접
- 간단 프로젝트
- 경력직
- 백준
- 자바
- react
- 알고리즘
- 트리
- SBS 개발
- 대문자
- IT시스템개발
- 웹 개발 면접 질문
- 백준알고리즘
- 첫 React
- URL입력
- MySQL
- 사내시스템
- 리액트
- Today
- Total
리주의 프로그래밍 공부
20.12.14 오라클 DB 공부 본문
DDL : CREATE / ALTER / DROP

왼쪽처럼 CREATE TABLE을 했을때, 이름이 부적합하다는 오류가 나왔을 경우에는 큰따옴표(" ")를 사용해서 정의 가능.
ex) CREATE TABLE "COMMENT"
DML : INSERT / SELECT / UPDATE / DELETE
데이터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명령어들.
INSERT 규칙
INSERT INTO <테이블> VALUES <값목록>
ex) INSERT INTO MEMBER(ID, PWD) VALUES('leezu', '111);
이 때, 테이블column 순서에 맞게 값을 넣어주면됨. 지정되지 않은 column에는 NULL 값이 들어감
SELECT
SELECT * FROM MEMBER;
모든 값을 가져옴.

SELECT id, name, pwd FROM MEMBER;

SELECT id as user_id, name, pwd FROM MEMBER;
id를 user_id처럼.
(as는 생략 가능) SELECT id user_id, name, pwd FROM MEMBER;

만약 user_id 가 아니라 user id (공백 포함)일 경우에는 큰따옴표(" ")
(대신 큰따옴표 안에 들어간 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)
SELECT id "user id", name, pwd FROM MEMBER;

'DB 공부 > 오라클(Oracl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20.12.25 오라클 DB 공부 (0) | 2020.12.25 |
|---|---|
| 20.12.24 오라클 DB 공부 (0) | 2020.12.24 |
| 20.12.21 오라클 DB 공부 (0) | 2020.12.21 |
| 20.12.17 오라클 DB 공부 (0) | 2020.12.17 |
| 20.12.15 오라클 DB 공부 (0) | 2020.1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