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- SBS 본사
- 간단 프로젝트
- 대문자
- SBS 개발
- 오라클
- 백준알고리즘
- URL입력
- 면접
- MySQL
- 웹 개발 면접 질문
- Vue.js
- 자바
- react
- 프로젝트 후기
- 첫 React
- IT시스템개발
- 경력직
- 알고리즘
- 리액트
- 첫 리액트
- 뷰 리액트 비교
- 백준
- 트리
- 쟈스
- 뷰
- CompositionAPI
- 1차면접
- e-HR
- 사내시스템
- 뷰 리액트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88)
리주의 프로그래밍 공부
JSON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OM.xml 에 다음 구문을 추가해줘야한다. com.fasterxml.jackson.core jackson-databind 2.11.2 그리고 컨트롤러에서 그냥 객체를 반환하면 된다. @RestController("apiNoticeController") @RequestMapping("/api/notice/") public class NoticeController { @Autowired private NoticeService service; @RequestMapping("list") public Notice list()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, SQLException { List list = service.getList(1, "title", ""..
지금까지 사용했던 @Controller 는 일반적으로 Client의 요청으로부터 View를 반환한다. 하지만 View가 아닌 Data를 반환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, 이때에는 아래처럼 @ResponseBody를 사용할 수 있다. @Controller @RequestMapping("/") public class HomeController { @RequestMapping("index") // Data를 반환하도록 도와주는 Annotation @ResponseBody public String index(){ return "Hello Index"; } } 물론 다른 방법도 있다. 기존 @Controller가 아닌 @RestController를 사용하면 된다. RestController @Controller + @..
절댓값을 구하는 함수 : ABS(n) ex) SELECT ABS(35), ABS(-35) FROM DUAL; -> 35, -35 음수/양수를 알려주는 함수 : SIGN(n) ex) SELECT SIGN(35), SIGN(-35), SIGN(0) FROM DUAL; -> 1, -1, 0 반올림 값을 알려주는 함수 : ROUND(n, i) ex) SELECT ROUND(34.345678), ROUND(34.6788) FROM DAUL; -> 34, 35 SELECT ROUND(12.345678,2), ROUND(12.3456778,3) FROM DUAL; -> 12.35, 12.346 숫자를 자르는 함수 : TRUNC(n, i) ex) SELECT TRUNC(666.666, 2) FROM DUAL; -> 6..
RequestMapping : 컨트롤러에 URL을 매핑해주는 Annotation 예시. @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{ @RequestMapping("/index") public String Index(){ //tiles를 통해 resolving이 가능 return "root.index" } } /index로 요청이 들어오면 tiles로 resolving된 화면이 출력됨. RequestMapping을 쓰기 위해서 아래 두 줄을 .xml 파일에 추가해준다. 물론 이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와같이 추가해야하는 구문이 있다.
기존 .xml에 담긴 DI -> Annotation 으로 변경한다. (물론, 코드가 없다면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.xml 파일에 DI를 담아야한다.) 이는 @Autowired (혹은 @Resource) Annotation(어노테이션)을 사용하여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적으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 해당 객체에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하게 하는 것이다. @Autowired 작동 순서 주입하려고 하는 객체의 타입이 일치 -> 객체를 자동 주입 아니라면 -> 속성명이 일치하는 bean을 컨테이너에서 찾음 이름이 없다면 -> @Qualifier 유무를 찾아 그 속성에 의존성 주입 추가적으로 주석처리 아래 4줄을 .xml 파일에 적어야한다.
이름은 몇 글자인가? 성은 제외하고 이름만 어떻게 되는가? 이름에 비니 공백은 제거하고 출력할 것 영문 이름인 경우 첫 글자는 소문자로 이러한 요청을 위해 함수를 사용 패딩 함수 : 빈공간을 채우는 함수(byte) SELECT LPAD('HELLO', 5) FROM DUAL; -> HELLO SELECT LPAD('HELLO', 10, '0') FROM DUAL; -> 00000HELLO SELECT RPAD('HELLO', 10, '0') FROM DUAL; -> HELLO00000 문제. 회원의 이름을 조회하시오.(단, 이름의 길이가 3자가 안되는 경우에는 이름 오른쪽을 밑줄로 채우시오.)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는 함수 SELECT INITCAP('the ...') FROM DUAL; -> The ..
기존에 -servlet.xml 하나로 스프링 설정을 해왔다면, 이제는 여러개의 파일로 분리하려고 한다. 설정파일이 하나면 협업을 할 때, 동기화 과정이 느려 불편함이 생기기때문이다. /WEB-INF/ /WEB-INF/spring/ ex) dispatcher-servlet.mxl -> security-context.xml service-context.xml servlet-context.xml 기존 -servlet.xml에 있는 코드를 기능대로 그대로 옮겨주되, web.xml에 이를 적어줘야한다. dispatcher 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/WEB-INF/spring/servlet-context.xml ..
아래와 같이 JDBC를 사용하기 위해 class 안에 driver, url, user, pwd 등을 직접 넣을 수 있다. private String url = "jdbc:oracle:thin:@localhost:1521/xepdb1"; privateString uid = "sys as sysdba"; private String pwd = "1234"; private String driver = "oracle.jdbc.driver.OracleDriver"; 하지만 배포 후, 비밀번호 변경 등에 대한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, dataSource를 사용하여 -servlet.xml에 연결정보를 넣는다. 추가적으로 pom.xml에 아래 코드 추가 org.springframework sprin..